맨위로가기

한국철도공사 8200호대 전기 기관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철도공사 8200호대 전기 기관차는 오이로슈프린터 2세대 화물형을 기반으로 한국 환경에 맞게 제작된 전기 기관차이다.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총 83량이 도입되었으며, 지멘스의 VVVF 인버터를 사용하여 5200kW의 출력을 낸다. 최고 속도는 150km/h이며, 객차 전원 공급 장치를 갖춰 최대 12량의 객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현재는 사고로 폐차된 차량을 제외한 81량이 운행 중이며, 주로 무궁화호 견인에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전기 기관차 - 한국철도공사 8500호대 전기 기관차
    8500호대 전기 기관차는 한국철도공사에서 운행하는 화물 열차 견인용 전기 기관차이며, 최고 속도 150km/h로 운행하고 IGBT-VVVF 제어 방식과 Co-Co 방식의 대차를 사용하며,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총 87량이 도입되어 경부선 등에서 운행한다.
  • 대한민국의 전기 기관차 - 한국철도공사 8100호대 전기 기관차
    한국철도공사 8100호대 전기 기관차는 지멘스 유로스프린터 ES64F형을 기반으로 대우중공업이 제작한 전기 기관차이나, 기술적 및 운영상의 문제로 생산이 중단되어 현재는 간헐적으로 화물 수송에 사용되고 있으며, 국산 전기 기관차 개발에 교훈을 제공하였다.
한국철도공사 8200호대 전기 기관차
기본 정보
8243호 기관차
8243호 기관차 (신길역에서)
운영자한국철도공사
제작사로템
제작 연도2003년 - 2008년
제작 수량83량
궤간1,435 mm
전기 방식교류 25,000 V, 60 Hz
차량 길이18,760 mm
차량 폭3,000 mm
차량 높이4,470 mm
차체 폭3,860 mm
기관차 무게80 t
휠 직경1,250 mm
축 배치Bo-Bo
UIC 분류Bo′Bo′
동륜 배열B-B
최대 속도150 km/h (기본), 220 km/h (높은 기어비 사용 시)
동력 출력5,200 kW
기동 견인력330 kN
안전 장치ATS, ATP
제동 장치전자 제어식, 공기, 회생
운행 노선전철화 구간
운행 번호8201-8283
기술 사양
제어 방식VVVF-GTO (지멘스)
주 전동기 출력1,300 kW
기어비107:17 (6.29)
구동 방식크윌식 구동 방식
구동 장치유도 전동기
제동 방식회생 제동 병용 공기 제동
기타 정보
도입 단가49억 1천 7백만 원
제작 회사지멘스 (독일), 현대로템 (대한민국)

2. 기술적 사양

8200호대 전기 기관차는 오이로슈프린터 2세대 화물형인 ES64F(도이체반 152계)를 원형으로 하여 대한민국의 운용 환경에 맞추어 조정한 기관차이다. 지멘스VVVF 인버터(SIBAS32 계열 전장품)를 사용하며, 1300 kW급 전동기 4기를 통해 1량당 5200kW(7000 마력 상당)의 출력을 낼 수 있다.[5] 차량 중량은 자중 88톤, 축하중 22톤이다.

대차는 Bo'Bo' 4축 배열이며, 회생제동과 병용하는 공기제동을 채택했고, 답면제동이 아닌 차륜 외부 디스크에 의해 제동력이 전달되는 방식이다. 최고 속도는 150km/h이나 설계 변경을 통해 220km/h까지 증속할 수 있다.

통합 열차 관리 시스템을 채용하여 검수 및 운전 편의를 도모한다. 운전실에는 고급 버켓시트, 터널 진입 시 압력 변화를 방지하는 조압 장치, 냉/온장고 등 승무 편의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객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 장치(HEP)를 채용하여 최대 12량의 객차에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2] 절연구간 진입 시 회생제동을 통해 객차에 전원을 계속 공급할 수 있다.

3. 도입 역사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초기형 8200호대 전기 기관차 55량이 도입되었고, 2008년에는 후기형 28량이 추가로 도입되었다.[3] 초기형은 차량번호 표기가 스티커 방식이었고, ATP가 탑재되지 않았으나, 후기형은 금속 플레이트 방식으로 제작 당시부터 ATP가 탑재되었고, 충돌 사고 대책으로 안티 클라이머가 장착되었다. 2019년 현재 사고로 폐차된 8252호기를[3] 제외한 82량이 운행 중이며, 한국 전국의 전철화 노선에서 주로 무궁화호 견인에 사용되고 있다.[4]

3. 1. 초기형 (2003년 ~ 2006년)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초기형 8200호대 전기 기관차 55량이 제작되었다.[3] 초기형은 차량번호가 파란색 스티커 방식이었고, ATP (자동 열차 정지 장치)가 탑재되지 않았다.[3] 그러나 2019년 현재는 후기형과 같이 금속 플레이트 방식으로 차량번호 표기가 변경되었고, ATP가 추가 설치되었다.[3]

8200호대 전기 기관차 (경부선의정부역에서)

3. 2. 후기형 (2008년)

2008년 이후에 도입되었으며 차호(차량 번호)가 금속으로 부착되어 있다. 처음부터 ATP를 탑재했으며 안티클라임(충돌 시 차체 상승 방지 장치)을 장착하고 있다. 초기형과는 연결기 부분 주변 스커트의 모양이 다르다.[3]

4. 운행 구간

8200호대 전기 기관차는 처음 도입된 후 경부선 천안-조치원 구간과 충북선에서 시험 운행을 했으며, 4~6량 단위 영업 운행도 병행되었다.[2] 이후 중앙선, 태백선 등으로 운행 범위가 점차 확대되었다.

2006년 7월 1일부터는 호남선, 광주선 용산-목포(광주) 구간 새마을호, 무궁화호 열차를 견인하기 시작해 처음으로 150km/h 고속 운행을 실시했고, 이후 서울-대전 무궁화호에도 투입되었다. 같은 시기 영동선 동해-강릉 구간 전철화로 강릉-청량리무궁화호 열차의 중간 기관차 교체가 사라지고, 현재는 해당 구간에서 발전차를 연결하지 않고 운행한다.

2007년 경부선 전 구간 전철화로 서울-부산무궁화호 견인도 시작했다. 2008년 12월부터는 중앙선 청량리-안동/부전무궁화호 일부 열차의 중간 기관차 교체가 시작되었고, 이후 영동선 부전/동대구-강릉무궁화호 열차에 중간 기관차 교체를 하여 운행하게 되었다.

2011년 10월부터 경전선 서울-마산 구간과 전라선 여수엑스포-익산/용산 구간에도 전기 기관차가 운행하게 되었으며, 2021년 12월부터 동해선 동대구/포항-부전 구간에도 전기 기관차가 운행하게 되었다.

현재 8200호대 전기 기관차는 한국 전국의 전철화 노선에서 주로 무궁화호를 견인하고 있다.[4]

5. 차량의 문제와 해결

8200호대 전기 기관차의 보조 전원 장치(HEP)는 대한민국 전력 공급의 불안정성 때문에 초기 도입 시 오류가 발생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 문제로 본선 영업 투입이 지연되기도 했다.[5]

절연구간에서 회생 제동으로 유지 가능한 전력에는 한계가 있어, 견인하는 객차가 많아지면 보조 전원 장치의 전원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문제가 있었다. 실제로 2007년 초 통통통 뮤직카페트레인(레이디버드)에 하이원 스키랩핑을 한 열차를 견인하다가 경원선 용산-이촌 구간(절연구간)을 통과하던 중 보조 전원 장치 차단 고장을 일으켜 7500호대 디젤 기관차에 견인되어 운행된 적이 있다.

보조 전원 장치 용량 문제로 6량 이상을 견인하는 열차에는 발전차를 추가로 연결하여 운행하기도 했다. 현재 보조 전원 장치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되었으나, 일부 열차는 여전히 발전차를 연결하여 운행하기도 한다. 호남, 광주, 태백, 충북선 전 열차 및 경부, 전라, 중앙, 영동, 대구, 동해, 경전선 일부 열차는 발전차 없이 운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만 현재는 경부/호남/전라선에서 운행하는 무궁화호 일부 열차를 8~10량 정도 견인 운행했지만 8200호대의 차량 견인, 제동, 객차 전기 공급 능력 한계로 6~7량 고정으로 견인 운행 중이다.

이 외에도 8100호대와 유사한 차륜 공전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HEP 장착 여부 차이만 있기 때문에 같은 이유로 공전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6. 현황

총 83량이 제작되었다. 사고로 폐차된 8252호를 제외하고[3] 82량이 운행 중이며, 한국 전국의 전철화 노선에서 주로 무궁화호를 끄는 데 사용되고 있다.[4] 8223호, 8232호는 차체 필름 시공 차량으로, 다른 8200호대보다 도색이 진하고 깨끗하다. 8241호, 8243호는 편성 번호 스티커가 다른 열차에 비해 위에 있다.

참조

[1] 기타
[2] 기타
[3] 기타
[4] 기타
[5] 웹인용 Siemens Mobility References - Universal Locomotive 8100 / 8200 http://www.mobility.[...] 2016-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